책이 가지고 있는 명성에 비해 사실상 특별히 새로울 만한 내용은 없었다.
윤리학의 역사는 ‘의무론적 윤리’와 ‘목적론적 윤리’라는 두 축 사이에서의 진자운동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역시 그 두 범주를 사용하여 양 쪽의 가장 대표적인 주장들을 택하여 알기 쉽고 실제적인 예화들을 사용해가며 논점의 차이들을 흥미롭게 부각시켜나간다. 그리고 결론부에 가서 자신의 견해인 ‘공동체주의’를 제시하며 목적론적 윤리의 손을 살짝 들어주는 것으로 책을 끝맺는다.
책을 읽으며, 현재 가장 영향력 있는 기독교윤리학자인 스탠리 하우어워스가 주장하는 '덕의 윤리, 성품의 윤리'와 저자의 주장 사이의 연관성을 떠올려보게 된 것도 매우 흥미로운 일이었다(샌델과 하우어워스는 각각 일반윤리와 기독교윤리의 영역에서 유사한 주장을 하고 있는 가장 주목받는 학자들인 셈인데, 이들은 가까이로는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 멀리로는 아리스토텔레스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사상의 뿌리를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만약 제목으로 인해 정의에 대한 가슴 시원한 답변을 기대하며 이 책을 읽는다면 다소 실망할지도 모르겠다. 내 사견이지만 이 책은 초강대국의 일류대학 강의실에서 나타나는 정의에 대한 담론이 가질만한 예상 가능한 약점들을 고스란히 가지고 있다. 저자가 극단적인 자유지상주의의 한계를 예리하게 짚어내면서 윤리의 영역에 공동체적 가치와 도덕을 복권시키려 노력하는 것은 그가 좋은 관점을 가진 훌륭한 학자임을 보여주지만, 그럼에도 저자의 논의는 시종일관 제1세계 학자가 가진 관점의 한계 안에 머물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하긴 강의의 목적 자체가 정의를 추구하기를 촉구하는 것보다는 정의에 대한 사고를 자극하는 것이었음을 감안하면 이같은 평가가 다소 야박한 감은 있다).
오히려 내가 생각하는 이 책의 가장 큰 강점은 주제보다는 저자의 탁월한 전달력에 있다. 사실 ‘정의란 무엇인가’보다는 ‘강의란 무엇인가’를 더욱 확실히 보여주는 책이라 하겠다.
책을 읽는 내내 왜 샌델의 강의가 하버드대 20년 연속 최고의 명강의가 되었는지를 제대로 느낄 수 있었다. 그가 주제를 이끌어나가는 능력은 정말 탁월하여서, 읽는 내내 감탄이 절로 나왔다. 누군가에게 메시지를 전달해야 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이 책을 참고한다면 효과적인 전달과 소통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책이야기 > 일반 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꼼수 PD 김용민의 '대한민국 보수 파헤치기': <보수를 팝니다> (0) | 2011.12.09 |
---|---|
김어준의 <닥치고 정치> : 닥치고 읽자. 진심이다. (0) | 2011.12.05 |
모든 정치인은 강남 좌파다? - 강준만, <강남 좌파> (0) | 2011.09.25 |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 난 반댈세!! (1) | 2011.08.15 |
정말 대단한 책!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 토드 부크홀츠 (1) | 2011.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