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의 어느날, 아내에게 전화 한 통을 받았습니다. 임신테스트를 해보았는데 선명한 두 줄이 나왔다는 연락이었습니다. 잠시동안 멍했습니다.
결혼 5년만에 드디어 생긴 아기, 저희 부부가 오랫동안 기다려온 소식이었습니다.
일을 마치고 집에 들어가니 아내가 태명을 지어달라고 했습니다.
저는 창의성이 없는지라 이름 같은 것 정하는 일을 참 힘들어합니다.
간사하면서 제일 기피했던 일 중 하나가 수련회 주제어나 문구 등을 정하는 일이었습니다. 태명을 짓는 것도 억지로 지으려고 했다면 참 스트레스 받을 만한 일이었을 겁니다.
하지만 그 때는 이미 하나의 이름이 떠오른 후였습니다.
그것은 제가 임신소식을 듣고 나서 처음 드렸던 기도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결혼 5년만에, 서른여섯 나이에 첫 아기가 생기자 참 감사하고 행복했습니다. 아내 뱃속에 아직 콩알보다도 더 작게 자리잡고 있는 그 생명이 참으로 소중하고 사랑스러워 견딜수가 없었습니다.
무엇보다 아내에게 고맙고 아기에게도 고맙고.. 그 고마운 마음을 표현하고 싶은데 뭘 어떻게 해야 할지...
그때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동안 살면서 세상에 자기 자식만 귀한 줄 아는 부모를 만나면 참 꼴불견이라 생각해왔는데 이제 그 사람들이 이해가 되는구나. 잉태가 불러일으키는 감동과 행복이 이 정도인데 그렇게 열 달을 품고 낳아서 애지중지 키웠으니, 자기 감정에만 충실하게 살면 세상에 자기 자식만 귀한 줄 아는 사람 되는 건 쉬운 일이겠구나. 자칫하면 우리도 그렇게 될 수 있겠구나.’
그래서 기도했습니다.
“하나님. 저희 부부에게 아기 주셔서 참 감사합니다. 늦게 생긴 아기이다 보니 저희에게 더 특별하고 소중하게 다가옵니다. 그러니 행여나 저와 아내가 자기 자식만 귀한 줄 아는 부모로 살지 않게 해주시고, 세상 사람 모두가 이 아기처럼 소중한 존재라는 걸 알고 그렇게 대하는 부부로 살게 해주세요.”
이것이 임신소식을 듣고 나서 제가 드린 첫 번째 기도였습니다.
저는 그 깨달음이 하나님께서 이 아기를 통해 우리 가정에 주신 메시지라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태명을 ‘소중이’라고 지었습니다.
그리고 다음날부터 세상이 놀랍게 달라졌습니다.
늘상 만나오던 사람들이 다르게 보였습니다.
그들이 그들 부모에게 얼마나 큰 기쁨이고 행복이었는지가 새롭게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한 사람 한 사람이 더 귀하게 보였습니다.
저를 힘들게 하는 사람도 그가 누군가의 얼마나 소중한 아들딸인가 하는 것이 떠오르면 마음이 다소 누그러지곤 했습니다.
그리고 열흘 후에 세월호 사건이 터졌습니다.
참 아팠습니다. 소중이가 일깨워준 깨달음으로 인해 더 아팠는지도 모릅니다.
얼마전 세월호 백일집회에 갔었는데 무대 위에 선 유가족들의 눈을 차마 똑바로 쳐다보기가 힘들었습니다.
그 분들의 눈에 비친 슬픔이 너무나 깊었습니다.
저는 그 슬픔의 깊이를 감히 가늠할 수도 상상할 수도 없습니다.
그 분들이 잃은 것은... 자기 목숨보다 더 귀하게 여기며 사랑으로 키워낸 그 분들의 ‘소중이’일테니까요.
보궐선거를 기점으로 세월호특별법이 고비를 맞게 되었습니다.
단식하는 유가족 분들이 너무나 염려스럽습니다.
사람들은 무뎌져가고 잊어갑니다. 잊지 말자 다짐했지만 저 역시 조금씩 그런 거 같습니다. 그래서 유가족들께 참 죄송합니다.
이제 그분들을 불편해하고 귀찮아하는 이들이 늘어가고 심지어 욕하는 이들까지 있습니다. 최근 유가족을 욕하는 댓글이 급격히 늘었다 합니다.
어찌 사람이 그럴 수 있나 믿어지지 않지만, 세상은 그런 곳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가 어디에 설 것인가 하는 것이 저에겐 참 중요한 문제가 되어버렸습니다.
10년을 기독교전임사역자로 살아왔고 앞으로도 오랜 시간을 이 일을 하며 살아가게 될 저에게 이 문제는 ‘나에게 이 직업이 앞으로도 계속 자긍심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는 직업인가’를 결정할 정도로 중요한 문제로 다가옵니다.
교회가 왜 세월호를 외면해서는 안되는가를 생각하다가 문득 떠오른 책이 있었습니다.
기독교 윤리학자 스탠리 하우어워스는 그의 책 <교회됨> (원제: Community of Character)의 후반부에서 낙태에 반대하는 주장을 펼칩니다.
그의 낙태반대논증은 독특하지만 제가 지금껏 들어본 것 중 가장 설득력 있고 감동적인 논증입니다.
그의 주장을 잘 드러내주는 글 세 부분을 인용합니다.
“공동체가 자녀출산을 독려하는 것은 공동체 그 자체 및 구성원들의 자신감의 표시이다. 자녀란 역경과 지루함에도 불구하고 인생이란 살만한 가치가 있다는 미래에 대한 공동체의 표식이기 때문이다. ... 인생은 고달픈 것이지만, 살아낼 만하다. 솔직히, 인생이란 남들에게 그렇게 살아보라고 권할 만큼의 열정이 있어야 살아갈 수 있다.”
“그리스도인은 자녀를 세상에 받아들이고 환영하기를 즐거워하는 백성이 되어야 한다. 그리스도인은 자녀를 하나님의 창조와 그 분께서 세상을 어둠의 권세에 버려두려하지 않으신다는 신실함의 표지로 인식하는 자들이기 때문이다. 기독교의 낙태금지는 새 생명이 기독교 공동체에 들어오는 것을 환영하는 적극적 위탁의 소극적 표현이다.”
“특별히, 그리스도인이 좀 더 지혜로워졌으면 한다. 낙태반대론을 제시할 때, 그 안에 내재된 기독교의 관점 즉 출산의 환영이라는 요점을 분명하게 보여줄 수 있으면 좋겠다. 우리의 에너지를 태아가 “인격체”인가 아닌가에 집중하기보다 자녀가 왜 소망인가를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뜬금없이 낙태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낙태반대는 기독교가 가장 열렬히 붙들고 있는 윤리적 이슈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저 역시 기독교인으로서 낙태를 반대합니다. 그리고 하우어워스의 논증이 드러내보여주고 있는 낙태반대의 핵심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교회는 낙태하는 이들을 정죄하고 저주하기 위해 낙태를 반대하는 것이 아닙니다.
교회의 낙태반대가 자리하고 있는 더 큰 그림에는 ‘출산을 환영하는 공동체로서의 교회’가 있습니다.
출산은 이처럼 죄와 고통이 많은 세상으로 ‘감히’ 새로운 생명을 초청하고 소환하는 담대한 행위입니다.
이 세상이 자녀들에게 줄 선물일만큼 아름다운 곳은 아니지만, 하나님이 함께 하시고 공동체가 함께 하기에 자녀들을 이 세상으로 초대하는 믿음의 행위입니다.
그리고 부모로서 교회와 함께 이 세상을 자녀들이 살만한 곳으로 만들어가겠다는 결단이 담겨 있는 초청입니다.
기독교의 낙태반대는 그러한 큰 그림 안에 놓여 있습니다.
하나님이 허락하신 생명이 인간의 선택에 의해 죽임당하는 것을 반대하며, 그 생명이 이 땅에 태어나는 것을 두 팔 벌려 환영하는 교회는, 그 생명들이 안전하고 행복하게 살아갈 만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그것이 없는 낙태반대는 무책임하며 바리새적인 것이 될 뿐입니다.
세월호 참사는 이 세상이 우리 아이들에게 결코 안전한 세상이 아님을 적나라하게 보여주었습니다. 그러한 비극이 반복되지 않는 세상을 만드는 첫걸음은 참사의 원인이 명명백백히 밝혀지는 것입니다.
한국교회를 향해 묻고 싶습니다.
한국교회가 세월호를 잊는다면, 세월호의 진실이 묻히는 것을 보고도 유가족의 간절한 외침을 외면한다면, 세월호 이후 교회는 어떠한 명분을 가지고 낙태를 반대할 수 있습니까, 어떠한 명분을 가지고 출산을 장려할 수 있습니까?
저는 이 문제를 외면하고서는 세월호 이후의 교회는 낙태반대와 출산장려를 외칠 어떠한 도덕적 권위와 명분도 가질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한국교회가 낙태반대를 외칠 때 주장해온 ‘생명존중’의 정신이 이 세월호 국면에서도 반드시 보여져야 할 것입니다.
소중이는 이제 20주를 지나 무럭무럭 자라고 있습니다.
저는 세월호를 잊지 않을 겁니다. 소중이 아빠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앞으로 이 아이가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제가 할 수 있는 일들을 할 것입니다. 소중이 아빠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그 자리에서 다른 누구보다 이 땅의 교회들을, 그리스도인들을 만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