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를 밝힌 ‘사상의 은사’.

책표지에 쓰여 있는 이 짤막한 글은 리영희 선생의 글과 삶이 가지는 의미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물론 나는 그가 밝혀준 시대를 함께 지나와 그를 사상의 은사라고 고백할 수 있는 그 세대의 사람은 아니다. 부끄럽지만 얼마전까지도 그에 대한 나의 지식이라고는 두음법칙을 따르지 않고 성을 ‘리’라고 표기하는 것에서 느꼈던 뭔가 낮설고 불온(?)한 이미지, 그리고 그동안 읽었던 여러 책에서 수차례 언급되곤 했던 <전환시대의 논리>라는 왠지 간지나는 책 제목이 전부였다.

그러던 내가 리영희 선생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건 유시민의 책 <청춘의 독서>와 조정래의 대하소설<한강>을 읽고 난 후부터였다. 그 두 책들은 한국사회의 민주화를 이뤄낸 세대들에게 그가 미친 영향이 얼마나 지대했는지를 분명하게 보여주었다. 그 후 나는 리영희 선생이 한국 근현대사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반드시 알아야 할 인물 중 하나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그의 평전을 발견했을 때 나는 반가운 마음으로 주저없이 집어들었다.

 

‘사상의 은사’라는 찬사와 ‘의식화의 원흉’이라는 비난을 동시에 받아온 그였지만, 의외로 평전을 통해 알게 된 그는 단순히 ‘좌’로 규정될 만한 인물이 아니었다. 역사와 사회를 바라보는 안목에 있어서, 그의 저서 <새는 ‘좌·우’의 날개로 난다>의 제목이 보여주듯이 그는 자본주의에 대한 맹신과 사회주의에 대한 맹신 모두를 경계했으며 양자의 상호공존과 보완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사회주의가 없는 자본주의는 부패, 불법, 타락, 빈부격차, 폭력, 범죄, 잔인, 인간소외 등을 낳게 마련이에요. 그것들은 자본주의의 ‘본태성 질병’이에요. 어쩔 수 없어요. 사회주의의 인간중시 가치관만이 그러한 자본주의의 반인간적 측면을 방지하고 보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하면, 자본주의의 질병이 그 제도의 골수에까지 심화하여 제도 자체가 붕괴하는 위험을 어느 정도의 선에서 예방하고 존속하기 위해서는, 또 그렇기를 원한다면 사회주의가 필수불가결하다는 것이지요. 나는 우선 지난 300~400년 사이에 인류의 발전을 이루어왔던 제도의 변화를 바라보면서, 그래도 상대적으로 바람직한 것이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적절한 배합이라고 생각합니다.

- <대화> 중에서.


그가 중국식 사회주의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음을 감안하더라도, 정작 그는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공존과 보완에 있어서 그 기본틀은 자본주의가 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초기부터 후기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가지고 있었던 것 같다.


나는 유신독재와 신군부시대의 권력이 리영희 선생을 그토록 탄압했던 것은 그의 사상 또는 이념이 유난히 급진적이었기 때문이라기보다, 수많은 지식인들이 보신을 위해 곡필을 일삼았던 어두운 시대에 지식인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삶으로 보여주었던 인물이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독재권력에게는 그의 ‘사상’보다 그의 ‘태도’가 더 큰 위협이었을 것이다.

수많은 옥고를 치르면서도 어떠한 위협에도 굴하지 않고 끝내 불의에 대한 비판의 날을 거두지 않았던 용기와 기개.

언론인과 교수로서 높은 명성에도 불구하고 불의한 정권과 타협하지 않는 올곧은 태도로 살았기에 여러번 해직을 겪으며 평생을 가난하게 살았던 삶(특히 선생의 나이 예순 다섯에 처음으로 온수가 나오는 집에서 살 수 있었다는 대목에서는 마음이 아려왔다).

이러한 태도와 삶에서 나온 글이었기에 그의 글은 어두운 시대를 밝히는 빛이 될 수 있었고 그는 시대의 양심을 대표하는 인물이 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는 지식을 전달한 사람이라기보다는 각성을 전달한 사람이었다. 각성이란 누군가를 배울 수 있게 만드는 일이다. 나는 리영희를 통해 보건대, 스승이란 ‘가르치는 사람’이라기보다는 ‘배우게 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사람들의 선입견을 깨뜨렸고, 사람들의 잠을 깨웠다. 한마디로 그는 일깨우는 사람이었다.

- 고병권의 글, <리영희 프리즘> 중에서.

 

평전을 통해 리영희 선생의 삶을 읽으며 자연스레 내 인생을 돌아보게 되었다. 그는 신앙이 없었지만 어둔 시대에 불의와 타협하지 않고 그 누구보다 치열하게 진실을 증언하며 살아간 지식인이었다. 예수님을 따라 사는 제자로서 나 또한 선생 앞에 부끄럽지 않을 삶을 살아가야겠다고 다짐하였다.





책장을 넘기다 눈물이 핑돌게 만든 사진이 한 장 있었다. 서울구치소에서 나온 리영희 선생이 아내 윤영자 여사와 함께 찍은 사진이었다. 리영희 선생이 시대의 우상과 맞서는 투사로 살 수 있었던 건 바로 이 분 덕분이었으리라. 이름도 빛도 없이 모진 인생을 견디며 한결같은 모습으로 선생 옆을 지켜온 분... 어쩌면 진정한 거인은 이 분이 아닐까. 이 여인이 너무 커보여서 한동안 이 사진에서 눈을 뗄 수가 없었다.

Posted by S. J. Ho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