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원 1,2> 미야베 미유키, 문학동네

 

미야베 미유키의 <낙원><모방범>의 속편으로 알려져 있는 작품입니다.

하지만 막상 읽어보면, 속편이라 할 정도로 전작과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낙원><모방범>의 주요인물이었던 마에하타 시케코가 그로부터 9년 후에 겪게 되는 새로운 사건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모방범>을 읽지 않은 사람도 충분히 읽을 수 있는 독립된 이야기로 보아도 무방합니다.

그래도 소설의 초반에는 <모방범> 사건의 트라우마로 9년동안 시게코가 어떤 삶을 살았는지, <모방범>의 범인은 이후 어떻게 되었는지 등의 내용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갑작스레 끝나버린 <모방범> 이후 이야기가 궁금한 독자들의 호기심을 채워주는 작가의 팬서비스라고나 할까요.

작가의 의도이든 아니든 같은 등장인물을 통해 <낙원><모방범>과 연결시킨 것은 꽤 좋은 아이디어였던 것 같습니다.

제가 <낙원>을 읽게 된 이유도 <모방범> 이후의 이야기가 너무나 궁금해서였으니까요.

미유키 자신의 베스트셀러 중 하나인 <모방범>과 이 책을 연결시킨 것만으로도 <모방범>의 열혈독자들을 꽤 많이 끌어안을 수 있으니, 작품의 주목도에도 판매량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을 것이 분명합니다.

반대로 <낙원>을 먼저 읽은 독자들의 경우에도, 저자가 군데군데 심어놓은 <모방범>의 흔적에 호기심이 생겨 <모방범>을 읽지 않을 수 없게 만들어놓았습니다.

(독립된 이야기지만 등장인물을 연결시켜 후속작으로 전작을 홍보하는 것 같은 방식은 스기무라 사부로 시리즈로 연결된 <누군가><이름없는 독>에서도 나타납니다. 미유키가 즐겨쓰는 수법인가 봅니다^^*)

하지만 그로 인해 독자들은 <낙원>을 저자의 최대 걸작인 <모방범>과 여러 모로 비교하며 읽을 수밖에 없게 되니 이러한 연결은 양날의 검과도 같습니다.

그래서 ‘<모방범>만 못해서 실망했다’, ‘아쉬웠다는 소감들도 꽤 눈에 띕니다.

그도 그럴 것이, 뒷이야기가 궁금해 책을 놓을 수 없게 하는 박진감이나 몰입도 면에서는 <모방범>에 비해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낙원><모방범>과는 다른 그만의 매력을 가진 작품임은 분명합니다.

비극적인 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 따뜻함이 느껴집니다.

소설의 마지막 장면에서는 정말 눈물이 핑 돌았습니다.

누군가의 말마따나 치유하는 힘이 있는 소설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방범>과는 다른 의미에서, 충분히 읽어볼 만한 소설입니다.

추천합니다.

Posted by S. J. Hong
,